SOCCER-지식정보/선수부상정보지식

[스크랩] 축구선수 재활의 단계 및 스트레칭 (실내)

천상의인연 2009. 3. 22. 10:57

축구선수 재활의 단계 및 스트레칭 (실내)


 

  부상 후 가장 빠른 시간 내 최대한의 기능 회복을 달성하는 것이 재활치료 및 훈련의 목표이다.
   특히 축구선수의 경우 빠른 시일 내 정상적인 훈련에 복귀하여 경기에 참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최대의 목표이다. 만약 충분한 재활치료 및 훈련이 되지 못한 경우나 부상을 입은 근육 및 관절 부위가 충분한 기능회복이 되지 못한 상태에서 정상적인 훈련에 복귀했을 경우 쉽게 재발을 초래하여 더욱 심한 연부조직의 손상을 가져와 기능 상실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것은 부상 후 충분한 재활치료 및 훈련을 하지 못하여 아직도 손상부위인 근육 및 관절부위의 연부조직이 약화된 상태이거나 완전한 기능회복이 덜 된 상태에서 정상적인 훈련과 경기에 참가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재활치료 및 훈련의 목적은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치료 및 훈련계획에 의해 가장 빠른 시간 내에 손상부위의 기능을 회복하는 것이다 
 

 

스트레칭 

 

 

1) 스트레칭 목적
01. 부상방지
02. 부상부위 재발방지 및 보호
03. 경기력 향상
04. 관절 가동범위의 증가
05. 유연성 및 신체균형성 증가
06. 피로회복

2) 스트레칭 방법
01. 스포츠 스트레칭은 선수가 스트레칭이 행하 

      여지는 것을 느끼고
     조금은 통증을 느끼는 범위까지 행하여 주어

      야 한다.
02. 스포츠 스트레칭은 선수마다 행하여지는 범

      위가 다르므로
      선수간의 비교를 하여서는 안된다.
03. 서서히 시작하여 정점에서 약 20~30초간 정

      지하고 서서히 끝낸다.

 

3) 스트레칭 효과
    
유소년기의 스트레칭, 특히 취침 전 행하여지는 스트레칭은 성장판을
     자극하여 유소년기 선수들의 신체 성장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

 

   

 1.허리부위 스트레칭

 

 

 

 2.고관절 내전근(허벅지 안쪽 근육)

 


* 두 손으로 발목고정 : 허리를 세우고 몸을 앞으로 한 후 양 팔꿈치로 대퇴부를 누른다.

 

 

 

 

 3.고관절 외회전근

 

 
* 무릎각도 90도를 유지하고 몸을 옆으로 기울인다

 

 

 

 

 4. 고관절 내회전근

 

 

 

 4. 고관절 내회전근

 

 

 

* 슬관절 각도 90도를 유지하고 무릎을 몸 안쪽으로 올린다.

 

 

 

 5. 고관절 신전근(엉덩이 근육)

 

 
* 엉덩이 근육 : 정강이와 턱이

  접촉하도록 한다. 

 

 6. 슬관절 신전근 및 고관절 굴곡근

 

 
* 유소년기 무릎 성장통 예방 및

    치료 : 아랫배와 가슴을 내밀고

             몸을 뒤로 젖힌다. 

 

 

 

 7. 슬관절 굴곡근

 

 

 

 8. 비복근 (종아리 윗 근육)

 

 
* 뒷꿈치를 바닥에 완전히 붙이고 무릎을 편다. 

 

 

 

 

 9. 가자미근 (조아리 아래 근육)

 

 
* 뒷꿈치를 바닥에 붙이고 무릎을 약 30도로 구부린다

 

출처 : 싸커코리아
글쓴이 : ★싸커메니아★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