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CER-지식정보/선수부상정보지식

[스크랩] 재활운동 - 경골과 비골의 골절(Fracture of the tibia and fibula)

천상의인연 2009. 3. 22. 11:11

재활운동 - 경골과 비골의 골절(Fracture of the tibia and fibula)

경골과 비골의 골절은 하퇴 뼈의 금이 가거나 골절 또는 분쇄된 상태이다. 경골과 비골이 함께 부러지거나 부러진 뼈 끝이 피부를 뚫고 나오면(개방골절) 손상이 더 심각하다.


하퇴에 강한 손상후 즉시 생기는 통증
손상부위의 변형
다친 다리의 기능장애
부러진 뼈의 끝이 서로 마찰될 때 염발음이 발생
발을 바닥에 단단하게 놓고 있는 상태에서 하퇴에 가해지는 강한 타격, 비틀림 또는 굽힘
주로 다운힐(downhill)동작을 많이 하는 스키운동 같은 동작 수행시
적적하게 치료되지 않으면 부러진 뼈들이 오랜 기간 기능장애를 일으키는 형태로 회복된다. 적절한 기술이 사용될지라도 이런 뼈들은 안정된 구조로 되지 않는다.
부러진 뼈 끝이 피부를 뚫고 나온 경우 상처 부위를 깨끗하게 하는 조치가 처해지지 않으면 심각한 감염등이 생길 수 있다.
즉각 의사에게 의뢰한다.
보이는 그 자세대로 부목을 댄다.
의료요원이 도착할 때까지 얼음을 조심스럽게 댄다.
신경과 혈관 손상 여부를 구분한다.
진단과 손상의 정도를 확진하기 위해 x-ray를 찍는다.
골절된 뼈가 이탈되어 있거나 불안정 상태이면 수술을 한다.
수술후 6주동안 목발을 사용하게 하고 그후에 완전 체중부하를 한다.
달리기는 수술후 3개월에 시작한다.
수술후 즉시 1단계 운동을 시작할 수 있다.
골절후 6개월이 경과해야 접촉성 스포츠 또는 부상의 위험이 있는 스포츠를 할 수 있다.
① 서있는 상태에서 발목을 중심으로 밀고 당기고 회전하는 그리고 내선 및 외선운동을 반복해서 실시한다.
① 하퇴부 스트레칭
지지물을 이용하여 하퇴부를 스트레칭한다. 보조물위에 올라가 발끝으로 서고 발 뒤굼치는 아래로 힘껏 내리면서 하퇴부를 스트레칭한다. 이때 스트레칭 시간은 약 5초간 실시하고 15초 휴식한 다음 다시 스트레칭을 3회정도 실시한다.
② 정강이 부위 스트레칭
무릎을 끓고 앉은 상태에서 발목이 바닥에 접촉댄 체 서서히 허리를 약간 뒤로 젖혀 발목이 스트레칭 되도록 자세를 취한다. 이때 역시 운동시간은 약 5초간 실시하고 15초 휴식한 다음 다시 스트레칭을 3회정도 실시한다.
③ 하지 전면부 스트레칭
서 있는 상태에서 통증 부위 다리의 발가락 위를 중심으로 바닥에 눌러 발등 부위 및 하지부 정면부가 스트레칭 되도록 발등을 최대로 펴는 동작을 실시한다. 운동시간은 약 5초간 실시하고 15초 휴식한 다음 다시 스트레칭을 3회 정도 실시한다.
① (그림)과 같이 고무줄을 이용하여 지지물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발앞 등에 고무불을 걸고 당기는 운동을 반복한다, 30초 운동-30초 휴식 2회 운동.
② (그림)과 같이 발바닥에 고물줄을 걸고 한쪽 고물줄 끝은 손으로 잡고 발등을 펴면서 발목을 신전시키는 운동을 반복한다.
③ 계단이나 보조물위에 발끝으로 서서 몸을 아래로 내려뜨리고 올리는 동작을 반복해서 실시한다. 30초 운동-30초 휴식 2회 실시.
④ 발목 외반 및 내반운동으로 고무줄을 이용하여 발 중간에 걸고 왼쪽 및 오른쪽으로 벌리는 운동을 반복해서 실시한다. 30초 운동-30초 휴식 2회 실시.
출처 : 싸커코리아
글쓴이 : 싸커코리아 원글보기
메모 :